PC방에서 게임이 끊겼을때 확인하는 방법 — OSI 7 Layer
OSI 7 계층을 일상에서 활용해보기
PC방에서 게임을 하는데 갑자기 연결이 끊겼다.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 나의 PC만 문제가 있다면 랜선접촉이 불량인지 네트워크 폴더를 열어서 확인한다. (3계층 네트워크 계층)
- 모든 PC가 문제가 있다면 공유기가 문제가 있거나 광랜을 제공하는 회사의 회선 문제 일 수 있다. (1계층 물리 계층)
- 한 PC만 문제가 있고 게임의 소프트웨어에 문제가 없고 스위치에 문제가 있으면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건들이지 않는것이다. (7계층 어플리케이션 계층)
OSI 7계층은 흐름을 한눈에 알아보거나 사람들이 이해하기 쉬우며 7단계 중 특정한 곳에 이상이 생기면 다른 단계의 장비 및 소프트웨어를 건들이지 않고도 이상이 생긴 단계만 고칠 수 있기 때문이다.
1계층인 물리 계층은 전기적, 기계적, 기능적인 특성을 이용하여 통신 케이블로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대표적인 장비는 통신 케이블, 리피터, 허브 등이 있다. 하지만 이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전달 전송만 하고 데이터가 무엇인지 어떤 에러가 있는지는 신경 쓰지 않고 단기적인 신호로 변환해서 주고받는 기능만 할 뿐 이다.
2계층인 데이터 링크 계층은 정보 전달을 수행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하고 통신에서의 오류도 찾아주고 재전송 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맥 주소를 가지고 통신하게 된다. 대표 장비는 브리지, 스위치를 통해 맥 주소를 가지고 물리 계층에서 받은 정보를 전달하게 된다. CRC기반의 오류 제어와 흐름 제어가 필요하다.
3계층인 네트워크 계층에서는 데이터를 가장 빠르고 안전하게 전달하는 라우팅 기능을 한다. 사용되는 프로토콜의 종류도 다양하고 라우팅의 기술도 다양하며 경로를 선택하고 주소를 정하여 패킷을 전달해 주는 것이 네트워크 계층의 역할이다. 대표적으로 라우터를 사용하고 IP주소를 부여하여 경로 설정(Route)를 한다. IP는 패킷 전송을 담당하는 프로토콜이며 주소를 지정하여 경로를 배정한다.
4계층인 전송 계층에서 TCP를 이용하여 포트를 열어서 응용프로그램들이 전송할 수 있게 한다. 만약 데이터를 전달받았다면 4계층에서 해당 데이터를 합쳐 5계층에 보낸다. 3계층인 데이터 계층에서 에러 제어와 흐름 제어 기능을 4계층인 전송 계층의 대표적인 예인 TCP를 이용하여 유효한지 확인하고 재전송을 해주는 역할을 한다. 또 다른 전송 프로토콜의 하나인 UDP는 처리 속도가 빠르고 LAN으로 연결 가능하여 실시간 응용 및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
5계층인 세션 계층은 데이터가 통신 하기 위한 방법을 설정한다. 예를 들어 쌍방 연결, 일방 연결, 번갈아가면서 연결할지 세션을 여닫고 TCP/IP세션을 만들고 없앤다. 통신하는 사용자들을 동기화하고 오류 복구 명령들을 일괄적으로 다룬다. 통신을 하기 위한 세션을 확립하고 유지하고 중단한다.
6계층인 표현 계층에서는 문제없이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해 암호, 압축, 인코딩을 한다. 해당 데이터가 해당 데이터가 TEXT인지, 그림인지, GIF인지 JPG인지의 구분 등이 표현 계층에서 한다.
7계층인 응용계층은 최종 목적지로서 HTTP, FTP, SMTP, POP3, IMAP, Telnet 등과 같은 프로토콜이 있으며 브라우저나 메일 프로그램 등 대부분 응용프로그램의 UI와 입출력이 여기에 속한다.